고신대학교 심장내과는 1951년 개원 이래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고신대학교 심장내과는 1951년 개원 이래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1991년 부산, 경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심혈관 중재시술(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였으며, 1997년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에 대한 전기도자 절제술, 1998년 심실부정맥 자동 제세동기 삽입, 1999년에는 국내 최초 심방세동 고주파도자절제술 실시, 2001년 심부전증 치료를 위한 양심실 동시 심박동기 시술 등을 시행하였습니다.
고신대학교 심장내과는 외래 및 입원환자 진료 외에 심장중환자실, 심혈관촬영실, 운동부하검사실, 홀터모니터링실, 심전도실, 심초음파 검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장내과 부설 심혈관연구소 및 고혈압연구실, 줄기세포연구실을 개설하여, 임상뿐만 아니라 연구하는 심장내과로서의 위상을 높여 가고 있습니다. 또한 학술 및 연구활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바, 국내 외 학회에서 심부전 및 심방세동에 대한 많은 연제들을 발표하면서 심장학의 학문적인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희 고신대학교 심장 내과는 1951년 개원 이래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1991년 부산, 경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심혈관 중재시술(관상 동맥 중재술)을 시행하였으며, 1997년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에 대한 전기도자 절제술, 1998년 심실부정맥 자동 제세동기 삽입, 1999년에는 국내 최초 심방세동 고주파도자절제술 실시, 2001년 심부전증 치료를 위한 양심실 동시 심박동기 시술등을 시행하였습니다.
고신대학교 순환기 내과는 교수진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래 및 입원환자 진료 외에 심장중환자실, 심혈관촬영실, 운동부하검사실, 홀터 모니터링실, 심전도실,
심초음파 검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장 내과 부설 심혈관 연구소 및 고혈압 연구실, 줄기 세포 연구실을 개설하여,
임상뿐만 아니라 연구하는 심장내과로서의 위상을 높여 가고 있습니다. 또한 학술 및 연구활동 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바,
국내 외 학회에서 심부전 및 심방세동에 대한 많은 연제들을 발표하면서
심장학의 학문적인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에 있어서도 학생 교육으로는 심장학 과목에서 강의 및 실습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공의 교육을 위해 매주 journal conference 등을 통하여
최신의 지식의 습득에 게을리 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case conference 를 통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들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매주 내과에서 주최하는 conference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심장내과의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해서 다른 과들과의 협동 연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 실습생 등을 위한 많은 교육 프로그램
(심전도 강의, 심초음파 강의, journal conference)을 자체적으로 시행함으로써 후학들의 지식 습득에도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5년부터 매년 1월 본교의 성삼관에서는 부산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심전도 연수 강좌를 개최하여
심장 내과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을 대상으로
강좌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매년 1000 명 내외의 의료인들이 참가하여 심장학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심장내과는 더욱 더 정진하여 의료의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지속적으로 발전함과 더불어 국내 의료의 질을 한 단계 증진시키는 과가 될 것을 약속 드립니다.
흉통 클리닉
안녕하십니까?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 질환에 대한 진료로서 본원에서는 흉통 클리닉을 통하여 환자들을 위한 좀더 편리한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고령화와 생활양식 및 식생활의 서구화로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본원에서는 흉통 클리닉을 통하여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고, 상담하고, 환자에 대해서는 최적의 치료를 시행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장에 의한 흉통 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흉통 역시 다른 과와의 빠른 협진 체계를 통하여 치료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흉통 클리닉에서는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진 클리닉, 심혈관 조영술의 당일 시술 등의 one-stop 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응급 시술의 경우에 24시간 상시 대기 상태로 응급 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클리닉 소개
심혈관 조영술( Day time care system)
초진 검사결과에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환자는 2~3일간의 입원이 요구되었던 심혈관 조영술 등의 정밀검사를 당일 입원으로 검사 받을 수 있습니다.
협심증 전문 시술팀 (전문 관리 프로그램)
협심증 전문팀에 의한 시술, 전문교육 및 영양사 상담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회신시스템 (지역 네트워킹 구축
검사 및 시술결과를 내원 당일 전화, e-male, fax를 통해 개인병원으로 보내는 절차를 통해 협진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또한 원하시는 경우, 심혈관 조영술 결과를 CD-ROM으로 보여드립니다.
24시간 상시 대기 시스템
예측이 어렵고 생명을 위협하는 협심증 및 심근 경색의 특성상 24시간 call center와 상시 진료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심방세동 클리닉장 차태준 교수
심방세동 클리닉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형 부정맥으로,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1-3%의 인구에서 심방세동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40세 이후에 심방세동이 발생할 위험이 인구 4명당 1명으로 높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호소하는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 가슴 압박감, 무기력증, 호흡곤란, 불안 등을 느끼게 되어 생활에 불편을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고, 치료를 안하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심장 기능의 저하와 뇌경색(중풍)을 일으키는 위험인자가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무서운 합병증이 중풍이며 특히 고령에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풍의 위험이 매우 증가하기 때문
특히 주위가 요망됩니다.
과거에는 약물치료 방법를 주로 하였지만 현재는 긴 관 -전극도자를 을 심장에 삽입하여 심방세동의 발생부위를 치료하는 전극도자 절제술이 개발되고, 외과적인 수술로 이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도 개발되어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치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본 심방세동 클리닉이 심방세동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심방세동 클리닉 소개
본 심방세동 클리닉은 1999년 국내 최초로 심방세동 고주파도자 절제술을 실시하여 대한 순환기학회에 보고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심방세동에 대한 원인 질환 규명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심장내과 최고의 학술지인 circulation 지에 4편의 논문을 개제하여 국내에서 심방세동의 치료와 연구에 가장 앞서가는 심방세동 클리닉으로의 자리를 매김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일종의 만성질환 즉 성인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각각의 환자에서의 발생원인과 질환의 지속 시간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환자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 환자 맞춤 치료가 특히 요구되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환자 치료에 매우 중요한 중요합니다.
본 클리닉에서는 심방세동 치료의 전 과정에서 한치의 오차가 없이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 지도록 매진하고 있습니다.
클리닉 현황
심방세동 클리닉에서는 심방세동의 효과적인 신 약물치료, 폐정맥 전극도자술과 외과적인 치료 등 가능한 효과적이고 최첨단의 치료 방법을 이용하여 심방세동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심장내과에는 심율동 전환장치, 전기생리학 검사기, 심장자극기, 고주파 도자 절제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 외에 2002년 국내 최초로 3차원 부정맥 치료기(CARTO & CT merge) 장치를 도입하여 부정맥 원인 부위의 정확한 파악과 효과적인 절제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3차원 검사기기는 부정맥 발생부위를 3차원 공간에서 정확히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며, 환자 부정맥의 특성에 맞추어 가장 적합한 진단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치료실패의 확률을 최소화 하였습니다. 64채널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얻은 영상을 바탕으로 3차원 부정맥 치료기 영상을 얻어서 시술을 시행한 후에 시술의 성공률이 매우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최첨단 진단, 치료장비를 이용하여 심방세동 각 환자의 특성에 맞게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시술 성공율을 높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2007년 10월 현재까지 부정맥 시술과 심방세동 원인 병소 절제시술을 1200예 이상 시행해 95% 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했습니다.
심방세동은 특정한 한가지 치료방법으로 완치되는 병이 아닙니다. 환자분의 연령, 전신상태, 기저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의 유무, 생활습관, 심방세동의 발생형태 등에 따라서 각각 다른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저희 심방세동 센터에서는 환자분들의 개개 인 특성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채택하여 가장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으며, 여러분을 돕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부정맥 클리닉
인사말
부정맥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가벼운 두근거림의 증상에서부터 심하면 돌연사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일어날 수가 있습니다.
갑자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흉통이 발생하고, 원인 모르게 의식소실이 발생하는 것 들이 부정맥에 의해서 발생하는 증상들입니다.
본 클리닉에서는 외래와 응급실을 통해 이런 부정맥을 여러 정밀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최선의 치료가 행해질 수 있게 여러 분야의 전문적인 의료팀이 함께 진료하여 가장 신속하고 가장 체계적인 과정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약물로만 치료하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전극도자 절제술로 획기적인 치료방법의 개선을 가져왔으며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클리닉 소개
본 클리닉에서 진료하는 질환에는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심실성 빈맥, 심장돌연사, 실신, WPW 증후군, Long QT 증후군, 브루가다 증후군 등 다양한 부정맥 질환을 진료합니다.
이런 질환이 의심이 되면, 심장 내과의 여러 정밀 검사 - 심전도, 24시간 홀터 검사, 운동부하 검사, 전기생리학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립니다.
많은 경우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2007sus 11월 현재까지 부정맥 시술과 심방세동 원인 병소 절제시술을 1200예 이상 시행해 95% 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했습니다.
그 외 인공 심장 박동기 삽입, 돌연사를 예방하는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난치성 심부전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는 양심실 동시 심박동기 삽입 등 최신의 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 본원 전기생리학 검사실
↑ 전기생리학 검사 장비 1
부정맥은 흔하게 보는 질환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고 치료가 어려운 질환으로 생각되어져 왔습니다.
본원의 부정맥 클리닉을 통하여 부정맥으로 고통 받는 환자분들에게 가장 최선과 최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클리닉
고혈압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중 동맥의 압력이 상승하는 질병입니다. 성인의 유병률이 거의 30%에 해당하고, 최근 인구의 노령화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는 양상입니다. 고혈압은 평소 증상이 없지만 관리를 하지 않으면,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신부전, 망막 손상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본원 고혈압 클리닉에서는 국민 보건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고혈압의 관리를 철저하게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을 하고, 24시간 활동 심전도 검사, 심장 초음파, 동맥 경화도 검사 등을 통해 환자 몸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합니다. 그리고 신장 내과, 안과, 신경과와의 협진을 통해 합병증의 예방도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매년 심장의 날, 고혈압 주간 등의 행사를 통하여 고혈압에 관한 기본적인 상식, 생활 요법, 약물 치료 등에 대해 강의를 하는 시간을 가져, 고혈압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고혈압에 대한 참된 지식을 제공하고 좋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심부전 클리닉
심부전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심장의 기능이 완전하지 못해 발생하는 일련의 증상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흔히 호흡곤란, 흉통, 부종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그 원인으로는 판막질환, 심근경색증, 심근병증, 부정맥, 과도한 음주 등 다양하게 생길 수가 있습니다. 심부전은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 그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아서 조기에 발견하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원에서는 여러 첨단 장비들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가의 처방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재활의학과와의 협진 등을 통해 환자를 최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말기 심부전 환자의 경우 양심실 동시 심박동기 삽입술 같은 최첨단의 치료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정기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으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저희 클리닉의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고혈압
1. 개요
고혈압은 현재 우리나라 성인에서 15-20% 정도로 발병할 정도로 유병률이 높으며, 뇌졸중, 심근경색, 뇌출혈, 신부전증 등의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소 증상이 별로 없고, 잘못 알려진 상식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조기 진단과 철저한 자기관리, 약물 요법 등으로 잘 조절하면 무서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고, 편안한 노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2. 혈압이란 무엇인가?
혈압이란 심장이 박출하는 힘과 동맥의 저항, 두 가지 힘으로 구성됩니다. 혈압이 유지됨으로써 신체 내의 여러 장기는 생명에 필요한 산소와 필수 영양분을 공급받게 됩니다. 즉, 우리 몸 속의 생명의 수도관을 유지시켜 주는 힘이라고 하겠습니다.
3.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90% 이상)은 특별한 원인을 알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를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서는 유전적 소인, 나이, 성별, 비만, 염분,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조절 가능한 부분을 우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고혈압 치료의 일차 목표가 되겠습니다.
4. 진단 기준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이 뿜어져 나갈 때의 혈압이며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박동 사이에 이완할 때의 혈압입니다. 흔히 혈압을 표시할 때 120/80mmHg라고 표시합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혈압의 진단 기준은 미국 고혈압 합동 위원회의 제 7차 보고서 (JNC 7)와 세계 보건 기구/국제 고혈압 학회 (WHO/ISH) 권고안을 따르고 있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수축기 혈압(mmHg) | 확장기 혈압(mmHg) |
---|---|---|
정상 | 120 이하 | 80 이하 |
고혈압 전단계 | 120 - 139 | 80 - 89 |
1기 고혈압 | 140 - 159 | 90 - 99 |
2기 고혈압 | 160 이상 | 100 이상 |
혈압을 올바르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혈압 측정 전 30분 동안은 흡연이나 카페인의 섭취를 금한다.
- 혈압 측정은 최소 5분 이상의 휴식 후에 시행한다.
- 등을 기대고 앉아 팔을 걷어 올린 후에 심장과 같은 높이로 유지한다.
5. 증상
고혈압은 대부분이 증상이 없습니다. 흔히 생각하는 두통이나 코피 같은 것은 대부분의 경우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아주 높은 경우에는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이 고혈압의 무서운 점이자 치료가 어려운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증상이 없다고 신경 쓰지 않고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합병증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합병증
온 몸의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뇌졸중, 뇌출혈, 심근경색, 만성 신부전, 대동맥 박리, 망막출혈 및 실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치료
흔히 알고 있는 잘못된 상식 중 하나가 고혈압은 한 번 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혈압은 노화 과정에 따라 생기며, 완치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 조절하는 병입니다.
혈압이 높기 때문에 여러 방법으로 혈압을 꾸준히 조절하여 후일에 생길 수 있는 무서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가. 일상 생활의 조절
규칙적인 운동, 체중 감량, 금연, 절주, 소금 섭취를 줄이는 것과 같은 생활 환경 개선으로도 상당한 혈압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나. 약물 요법
최근 많은 신약 개발로 하루 한 번 복용과 적은 부작용을 가진 약물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약물 치료 초기에는 약간의 어지러움, 무력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적응 기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집니다.
약물의 종류로는 이뇨제, 칼슘 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며 자기 관리가 중요한 병입니다.
관상동맥 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증
1. 개요
관상 동맥이란 심장의 바깥 쪽을 둘러싸면서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심장의 기능을 유지하는 중요한 혈관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이 혈관들에 죽상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협착이 생겨 심장 근육의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겨 흉통이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고, 심할 경우 심장마비, 사망까지 이르기도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서구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그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그 중요성과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2. 종류
가. 안정성 협심증 (Stable Angina)
심장의 관상 동맥에 죽상 동맥 경화가 일어나면 혈관이 좁아져 피가 잘 흐르지 못하고 심장 근육에 산소 부족이 일어납니다.
흉통은 대부분 15분 이내로 지속되며, 휴식을 취하면 가라앉거나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을 혀 밑에 넣으면 가라앉습니다.
나. 불안정성 협심증 (Unstable Angina)
안정성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증의 중간 단계에 해당합니다.
평소 흉통의 횟수가 잦아지고, 지속시간이 길어지며, 가만히 있어도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다.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이 갑자기 심하게 좁아지거나 막힘으로 인해 심장근육의 파괴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증상은 흉통에서부터, 쇼크, 심장마비, 사망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위험 요소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스트레스
4. 진단
- 심전도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심초음파검사
- 심장 핵의학 검사
5. 치료
가. 약물치료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방지)
- 니트로글리세린: 흉통 완화
- 고지혈증 치료제: 동맥경화 진행 방지
- 베타차단제, ACE 억제제
나. 관상 동맥 중재 시술
급성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의 치료에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막힌 혈관을 풍선, 스텐트 등을 이용해 뚫어줍니다.
신속히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최근에는 약물 용출 스텐트로 재협착률을 많이 감소시켰습니다.
다. 관상동맥 우회로술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환자에서 병의 진행이 심할 경우 개흉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혈류가 잘 가지 않는 부위에 다른 건강한 혈관을 이식해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부정맥
1. 개요
사람의 심장은 보통 1분에 60회에서 100회 사이로 박동을 하게 됩니다. 100회 이상인 경우를 빈맥, 60회 이하인 경우를 서맥이라고 합니다.
부정맥이란 정상적인 맥박이 아닌 모든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2. 주 증상
부정맥의 증상으로는 가장 흔한 것으로 두근거림이 있습니다. 그 외 어지러움이나 기절, 호흡곤란, 드물게 돌연사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종류
가.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가장 흔한 종류 중 하나로 심장 질환이 없는 사람, 젊은 사람에서도 자주 일어납니다. 증상은 수 초에서 수 시간, 또는 그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자주 반복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림을 호소하고, 어지러움, 호흡 곤란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나.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 조기 수축이라는 파가 3개 이상 연속되어 나타나며 지속성일 경우 쇽 상태나 돌연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다. 심방세동/조동 (Atrial Fibrillation/Atrial Flutter)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갑상선 질환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노인에게서 나타납니다. 심방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고 떨리며, 불규칙적인 심실 반응이 발생합니다.
주요 합병증으로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라. 방실 차단 (AV block)
심방의 전기 자극이 심실로 규칙적으로 전달되지 못해 전도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증상에 따라 인공 심장박동기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 조기흥분 증후군 (WPW 증후군)
정상적인 전기 전달 경로 외에 다른 우회로가 있는 경우 발생하며, 전극 도자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4. 진단
부정맥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심전도입니다. 증상이 있을 당시 심전도가 진단에 가장 중요하지만, 외래에서 정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주요 검사 방법으로는 심전도, 24시간 홀터 검사,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기립경 검사, 전기생리학 검사 등이 있습니다.
5. 치료
가. 약물 치료
항부정맥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거나 재발을 방지하지만, 근본적인 완치는 어렵고 장기 복용 시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
나. 전극도자 절제술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해 부정맥이 발생하는 비정상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시술로, 성공률이 매우 높습니다. 상심실성 빈맥의 경우 거의 99% 완치율을 보입니다.
다. 심박동기 삽입
증상이 있는 심한 서맥이나 방실 차단이 있는 경우, 국소마취 후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여 심박수를 조절합니다.
라.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
심실 빈맥으로 인해 심장마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리듬으로 전환하는 제세동기를 심장에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이는 심각한 부정맥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심장 판막 질환
1. 개요
심장은 크게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판막은 심장 내에 위치하여 혈액의 흐름에 출입구 역할을 합니다.
총 4개의 판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승모판, 삼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이라고 합니다.
2. 원인
판막질환의 원인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선천성: 판막의 모양이 선천적으로 다르게 태어나는 경우.
- 후천성: 어릴 때 류마티스 열을 앓은 후 발생하거나, 나이가 듦에 따라 퇴행성 변화 및 석회화로 인해 발생.
판막질환은 판막이 좁아지는 협착증과 넓어져 혈류가 후방으로 새는 역류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예: 승모판막 협착증, 승모판 역류증, 대동맥판 협착증, 대동맥판 역류증, 삼첨판막 역류증 등.
3.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 곤란입니다. 초기에는 움직일 때 숨이 차지만 점점 심해져 휴식 시에도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누워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될 수 있으며, 협심증처럼 가슴 통증, 심방 세동 같은 부정맥, 하지 부종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진단
심장 초음파: 심장의 모양, 기능 등을 평가하며, 고통 없이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는 손쉬운 검사입니다.
경식도 초음파: 심장 초음파를 내시경처럼 식도 내로 삽입하여 검사하는 특수 검사입니다.
국소 마취로 진행되며, 판막의 모양을 자세히 보기 위해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5. 치료
가. 약물 치료: 보조적인 치료로 사용됩니다.
나. 경피적 풍선 판막 성형술: 승모판 협착증의 경우, 심초음파 검사 후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사타구니 부위 정맥을 통해 특수 풍선을 삽입하여 협착 부위를 넓혀주는 시술입니다. 개흉 수술 없이 1시간 만에 치료가 가능합니다.
다. 수술: 판막 치환술 및 판막 성형술이 포함됩니다.
- 판막 성형술: 판막의 일부를 교정.
- 판막 치환술: 판막 전체를 인공 판막으로 대치.
6. 경과
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는 대부분 쿠마딘이라는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이는 인공 판막에서 생길 수 있는 혈전을 예방하기 위함이며, 용량에 따라 출혈이 생길 수 있어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약물 복용 중에는 치과 치료나 수술 시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1. 심전도 검사
심방과 심근의 흥분 및 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기록하여 심방/심실 비대, 심근경색증, 부정맥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 비관혈적 검사입니다.
2. 심장 초음파 검사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모양, 움직임, 혈류를 평가하며,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고혈압, 흉통, 실신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진단에 활용됩니다.
3. 24시간 심전도 검사
휴대용 기록계를 부착하여 하루 동안 심전도를 기록해 부정맥 및 심장질환의 연관성을 규명합니다.
★ 주의사항: 검사 전 샤워 필수, 검사 중 샤워 금지, 기계에 물/충격 주의.
4. 운동부하 검사
트레드밀에서 운동하며 심전도 및 심장 기능을 평가합니다. 협심증, 부정맥 등 진단에 유용합니다.
★ 참고사항: 금식(2시간), 커피/담배 금지.
5. 혈압 검사 (24시간 BP Monitoring)
하루 동안 혈압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로, 고혈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 주의사항: 샤워 후 방문, 검사 중 샤워 금지.
6. 기립경사 검사
심장신경성 실신 진단을 위해 자율신경계 변화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 주의사항: 6시간 금식, 검사 후 안정 필요.
1. 심혈관 조영술
관상동맥 질환을 확진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검사입니다.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에 도관을 삽입해 진행합니다.
★ 검사 후: 대퇴동맥 이용 시 6-12시간 침상 안정 필요.
2.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관상동맥 협착부위를 넓히는 시술로, 재협착률 감소를 위해 스텐트 삽입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관상동맥 그물망 시술
풍선확장술 중 갑작스런 혈관 폐쇄를 방지하고 재협착을 줄이기 위한 치료로, 최신 약물도포 스텐트가 사용됩니다.
4. 혈관내 초음파
혈관 내벽의 상태 및 협착 정도를 3차원적으로 확인하며, 병변의 특성과 스텐트 시술의 적합성을 평가합니다.
5. 경동맥 스텐트 삽입
경동맥 협착을 해결하는 시술로, 중풍 예방 효과가 높습니다. 최근 개발된 필터 기술로 중풍 위험이 감소했습니다.
6. 심방중격 결손 폐쇄술
심방 사이의 구멍을 폐쇄기구를 통해 교정하는 시술로, 수술에 비해 합병증이 적고 입원 기간이 짧습니다.
7. 동맥관 개존증 폐쇄술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남아있는 병변을 기구를 통해 폐쇄하는 시술입니다.
8. 경피적 승모판 풍선 성형술
승모판 협착증 치료를 위한 시술로, 풍선을 이용해 좁아진 승모판을 넓혀줍니다.
9. 알코올을 사용한 비후 심근 제거술
비후성 심근병증 치료를 위해 알코올로 심근을 감소시키는 시술로, 80-90%의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권리와 의무
제 1장 총칙
환자는 자신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갖고, 성별 · 나이 · 종교 · 신분 및 경제적 사정 등을 이유로 건강에 관한 권리를 침해 받지 아니하며, 의료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거부하지 못한다.
나. 알권리 및 자기 결정권
환자는 담당의사 · 간호사 등으로부터 질병상태, 치료 방법, 의학적 연구 대상여부, 장기이식 여부, 부작용 등 예상 결과 및 진료비용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세히 물어볼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동의 여부를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다. 비밀을 보호 받을 권리
환자는 진료와 관련한 신체상 · 건강상의 비밀과 사생활의 비밀을 침해 받지 아니하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은 환자의 동의를 받거나 범죄 수사 등 법률에서 정한 경우 외에는 비밀을 누설 · 발표하지 못한다.
라. 상담 · 조정을 신청할 권리
환자는 의료서비스 관련 분쟁이 발생한 경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등에 상담 및 조정 신청을 할 수 있다.
마. 안전한 의료 환경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을 권리
환자는 환자의 진료정보가 보호되고 환자 안전이 유지되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이용약관
제 1장 총칙
환자는 자신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갖고, 성별 · 나이 · 종교 · 신분 및 경제적 사정 등을 이유로 건강에 관한 권리를 침해 받지 아니하며, 의료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거부하지 못한다.
나. 알권리 및 자기 결정권
환자는 담당의사 · 간호사 등으로부터 질병상태, 치료 방법, 의학적 연구 대상여부, 장기이식 여부, 부작용 등 예상 결과 및 진료비용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세히 물어볼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동의 여부를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다. 비밀을 보호 받을 권리
환자는 진료와 관련한 신체상 · 건강상의 비밀과 사생활의 비밀을 침해 받지 아니하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은 환자의 동의를 받거나 범죄 수사 등 법률에서 정한 경우 외에는 비밀을 누설 · 발표하지 못한다.
라. 상담 · 조정을 신청할 권리
환자는 의료서비스 관련 분쟁이 발생한 경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등에 상담 및 조정 신청을 할 수 있다.
마. 안전한 의료 환경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을 권리
환자는 환자의 진료정보가 보호되고 환자 안전이 유지되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개인정보처리방침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하 병원이라 함)은 귀하의 개인정보보호를 매우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병원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귀하께서 제공하시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처리
2. 개인정보 제공 및 공유
3.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4. 수집한 개인정보의 취급위탁
5.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6.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7.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 방법
8.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10. 정책 변경에 따른 공지의무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일반 개인정보 수집 ※세부항목은 개인정보 처리방침 본문 확인 |
개인정보 처리목적 |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
개인정보의 제공 |
처리위탁 |
고충처리부서 |
병원은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이용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하기 목적에 필요한 용도 이외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에는 사전 동의를 구할 것입니다.
* 의료법 시행규칙 제 15조 ‘진료기록부 등의 보존’에 명시된 기간에 준하여 보존, 수집 목적이 달성된 후에도 보존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보유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 수집방법]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홈페이지, 서면양식, 팩스, 전화, 상담 게시판, 이메일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서비스 제공 업무 처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IP정보
수집항목 | 수집목적 및 이용목적 | 이용기간 | |||
---|---|---|---|---|---|
진료정보 | 필수 항목 |
성명, 주소, 연락처, 진료기록, 고유식별정보(주민등록번호 등) ※ 의료법에 의해 고유식별정보 및 진료정보를 의무적으로 보유하여야 함(별도 동의 불필요) |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진료서비스와 청구, 수납 및 환급 등의 원무서비스 제공 | 진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수집된 경우: 의료법 시행규칙(제15조 “진료기록부 등의 보존")에 준함. | |
고객의 소리 |
필수 항목 |
이름, 연락처, 이메일, 제목, 내용, 메일회신여부 |
필수 정보 |
고객 불편사항 및 문의사항에 대한 질의답변 서비스 제공 |
ο 민원사무처리(고객의소리)를 위한 정보 민원처리 종료 후 즉시 삭제 |
선택 항목 |
관련환자명, 환자등록번호 | 선택 정보 |
불편사항 및 문의사항에 대한 실질적 해결방안 제공 | ||
첫진료 예약 |
필수 항목 |
이름, 연락처, 생년월일, 증상 | 환자정보 확인 후 전화상담 및 예약서비스 제공 | 진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수집된 경우: 의료법 시행규칙(제15조 “진료기록부 등의 보존)에 준함. | |
인사관리 | 필수 항목 |
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휴대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자격사항, 학력, 경력사항, 가족사항(배우자), 은행계좌 | 인사관리, 보수지급, 근태관리 | 재직기간 및 퇴사 후 근무경력 활용을 위해 영구 보존 | |
선택 항목 |
생년월일, 이메일, 증명사진, 보훈/장애사항, 가족사항(배우자 외), 건강검진결과, 영상자료 | 퇴사시 까지 | |||
인재채용 | 필수 항목 |
[일반직] 성명, 생년월일,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최종학력 및 학점, 면허사항 [의사직] 성명, 생년월일,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최종학력 및 학점, 면허증, 자격사항, 경력사항, 병역사항 [전공의] 성명, 생년월일, 휴대전화번호, 면허사항 |
지원자의 신원, 업무 수행능력을 확인 및 채용 플랫폼 서비스 제공 | [입사자] 퇴사 후 근무경력 활용을 위해 필수항목은 영구보존, 선택항목은 퇴사 시까지 [미입사자, 전형탈락자] 최종 합격 발표일로부터 6월 |
|
선택 항목 |
[일반직] 주소, 종교, 보훈, 병역사항, 경력사항, 외국어성적, 자격사항 [의사직] 주소, 종교, 보훈, 외국어 성적 [전공의] 이메일, 주소, 최종학력 및 학점, 자격사항, 경력사항, 병역사항, 종교, 보훈, 외국어성적 |
*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처리에 관한 사항
아동의 법정대리인은 아동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정정 및 삭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아동의 개인정보를 열람·정정,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원정보수정을 클릭하여 아동의 개인정보를 열람·정정,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①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습니다.
② 만 14세 미만 아동의 법정대리인은 아동의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동의철회를 요청할 수 있으며, 만 14세 미만 아동이 제공한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오류의 정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③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기 위하여 수집한 법정대리인의 개인정보를 해당 법정대리인의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목적 외의 용도로 이를 이용하거나 제 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병원은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즉시 파기합니다.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목적이 달성된 후 파기방법에 의하여 즉시 파기합니다.
[파기방법]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병원은 귀하의 동의가 있거나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에서 고지한 범위를 넘어 귀하의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타인 또는
타기업ㆍ기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요양급여비용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제출
- 법령에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 제출 등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은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 목적으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타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 17조 및 제 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순서 | 제공목적 | 제공 받는 자 | 제공근거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보유기간 |
---|---|---|---|---|---|
1 | 간호사 보수교육 운영 관련 업무 | 대한간호협회 | 정보주체의 동의 | 성명, 면허번호, 최종학위/전공, 대한간호협회 등록회원 여부, 소속부서, 직위,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Email, Fax, 면허번호(의료인) |
보수교육 실시기관 지정 기간에 준함 |
2 | 암환자 등록 | 중앙암등록본부 | 암관리법 제14조 | 성명, 성별, 나이, 주민등록번호, 주소, 직업, 외국인, 행려환자, 입원일, 퇴원일, 외래방문일, 입력자 면허번호, 암진단 관련정보 |
영구 |
3 | 퇴원손상 심층조사 |
질병관리청 | 보건의료기본법 제41조, 53조, 57조, 국민건강증진법 제25조, 통계법 제23조, 32조, 33조 |
성별, 나이, 생년월일, 거주지 우편번호, 진료비지불원, 입원일, 퇴원일, 수술일, 입원경로, 진단코드, 수술코드, 퇴원결과, 원사인코드, 외인코드, 손상관련정보, 중환자실 입실여부 및 입실기간 |
영구 |
4 | 사망원인 보완조사 |
통계청 | 통계법 제17조, 18조, 인구동향 조사규칙 |
성명, 등록번호, 주소, 영아·임산부·태아 사망 관련정보(사망장소, 사망일시, 다태상태, 출생순위, 분만방법, 임신주수, 출생시 체중, 분만시간, 출생시 두위, 출생시 신장, 아프가점수, 산전관리, 직전임신결과, 임신·분만 기간 중 질환, 혈압, 체중, 신장, 흡연상태, 혼인상태, 교육수준, 직업, 국적, 사망원인, 합병증, 과거질환, 타기관 의뢰여부, 수술여부, 수혈여부, 임신 횟수, 직전임신 종결일자, 임신의 결과, 성별, 총사산아수) |
이용 목적 달성 또는 보유기간 경과 시 |
5 | 보건복지부 진료의뢰·회송 사업 수행 |
회송서 수신기관 (의료기관 및 보건복지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221호, 242호, 2022-265호 |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주소, 환자상태 및 진료소견, 의뢰(회송) 사유, 각종 진료정보 |
5년 |
6 | 보건복지부 진료정보교류 사업 수행 |
진료정보 교류기관 (의료기관 및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233호, 2021-171호 진료정보교류사업 지침, 정보주체의 동의 |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주소, 환자 상태 및 의뢰(회송) 사유, 각종 진료정보 |
진료정보교류에 관한 개인정보 제공동의 철회서 제출 전까지 (단, 법령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기간 동안에는 해당 정보가 보유될 수 있음) |
7 | 환자 진료의 연속성 유지 |
진료의뢰 의사 및 회송 의료기관의 의사 |
정보주체의 동의 | 이름, 성별, 나이, 진찰권번호, 초진기록지, 응급실기록, 퇴원기록, 수술기록, 처방, 검사결과 등의 진료정보 |
1년 |
8 | 2023년도 국민권익위원회 종합청렴도 측정 |
국민권익위원회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부패방지 및 국민 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제6호, 제29조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내부직원의 경우)직종, 부서, 근무년수 |
2023년도 종합청렴도 평가 완료시까지 |
9 | 감염병 진단 검사 의뢰 |
질병관리청, 보건환경연구원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 4조 시행령 제4조 |
성명, 생년월일, 감염병명, 발병일, 성별, 예방접종여부 |
준영구 |
10 | 국민건강보험 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15호 |
성명, 생년월일, 성별, 나이 | 조사 완료 시까지 |
11 | 건강보험 산정 특례 등록 내역 판정오류, 변경, 취소 신청 |
국민건강보험공단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 81조 |
성명,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 바이오정보 | 영구 |
12 | 산업재해보상 보험 지급 |
근로복지공단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18조, 제127조의2, 의료법 제21조 제3항제8호 |
성명, 환자번호, 성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주소, 환자 상태 및 진료 소견, 진료비 결제 이력, 외래·입원 수진일 |
이용 목적 달성 또는 보유기간 경과 시 |
13 | 황열/콜레라 예방접종증명서 제출 |
질병관리본부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4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0조 |
성명, 성별, 국적, 생년월일, 주소, 증명서번호, 여행지 | 영구 |
14 | 예방접종에 관한 역학조사 협조 | 질병관리청, 지역 시·군·구 |
의료법 제21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8조의4, 제29조 |
이름, 등록번호, 검사결과, 의무기록 (외래/입원 진료기록지) 등 |
조사 완료 시까지 |
15 | 지불보증서 수령 및 청구 | 계약되어 있는 보험사 | 정보주체의 동의 | 성명, 진단명, 생년월일, 의무기록 | 5년 |
16 | 외국인환자 유치 수수료 정산 | 협약된 외국인환자 유치업자 |
정보주체의 동의 | 성명, 환자등록번호, 국적, 진료비 | 10년 |
17 | 외국인환자 진료/검사 의뢰 | 협약된 외국인환자 유치업체, 한국보건 산업진흥원 |
정보주체의 동의, 의료해외진출법 제11조 |
성명, 나이, 성별, 국적, 진단명, 진료기록, 검사결과, 진료과명, 진료일정 |
반영구 |
18 | 역학조사 내용 제공 |
지역 보건소 |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2조, 제18조 |
진료기록, 진단검사의뢰기록, 항생제 처방기록 | 조사완료 시까지 |
19 | 방사선관계종사자 피폭이력 관리에 관한 사무 | 질병관리청, 한국원자력안전재단 |
의료법 시행령 제42조의2,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제155조의2 |
성명,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생년월일, 사번 | 영구 |
병원은 개인정보 처리 등 특정 업무를 [별첨1]과 같이 위탁하고 있으며, 관련 법령에 따라 위탁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위탁기관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은 위탁계약 종료 시까지이며, 다만 관련 법령에서 보유기간을 정한 경우 해당 법령에 따릅니다.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과 수탁자는 [별첨1]과 같습니다.
6. 동의철회 / 회원탈퇴 방법 및 탈퇴에 따른 불이익
귀하는 회원가입 시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 및 제공에 대해 동의하신 내용을 언제든지 철회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탈퇴는 병원 홈페이지 고신센터의 『회원탈퇴』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회원탈퇴를 하시거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로 전화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파기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습니다. 회원탈퇴에 따라 회원에게 제공되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병원은 귀하의 정보를 수시로 저장하고 찾아내는 '쿠키(cookie)'를 운용합니다. 쿠키란 병원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가 귀하의 브라우저에 보내는 아주 작은 텍스트 파일로서 귀하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됩니다. 병원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귀하는 쿠키 설치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귀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옵션을 설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쿠키가 저장될 때마다 확인을 거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회원님께서 쿠키 설치를 거부하셨을 경우 일부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브라우저별 쿠키 거부 방법]
-크롬(Chrome) : Chrome 열기 → 오른쪽 상단 더보기 ‘설정’ 탭 → 사이트 설정 ‘쿠키’ 탭 → ‘쿠키 차단’
-네이버 웨일(Naver Whale) : whale://settings/cookies 접속 → ‘타사 쿠키 차단’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오른쪽 상단 더보기 ‘설정’ 탭 → 좌측 메뉴 '쿠키 및 사이트 권한' 탭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탭 → '모든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보기' → '모두 제거'
귀하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병원은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두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름 : 이태화
직위 : 부원장
소속 : 고신대복음병원
전화번호 : (051) 990-6002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에 관한 권리 또는 이익을 침해받은 경우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등 관련 기관에 침해사실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 대검찰청 사이버수사과 : (국번없이) 1301(www.spo.go.kr)
☞ 경찰청 : (국번없이) 182(ecrm.cyber.go.kr)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이하 "병원")은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이하 "CCTV") 운영·관리 방침을 통해 병원에서 처리하는 개인영상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관리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CCTV의 설치 근거 및 설치 목적]
병원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 제1항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CCTV를 설치·운영합니다.
- 시설 안전 및 관리, 화재 예방
- 고객의 안전을 위한 범죄 예방
- (주차장) 차량도난 및 파손 방지
[설치대수, 설치 위치 및 촬영범위]
ο 설치대수 : 600대
ο 설치 위치 및 촬영범위 : 병원 전체(주차장 포함)
* 설치 대수는 병원의 사정에 따라 증감될 수 있습니다.
[관리책임자 및 접근권한자]
귀하의 개인영상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영상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영상정보 관리책임자 및 접근권한자를 두고 있습니다.
구분 | 직위 | 소속 | 연락처 |
---|---|---|---|
관리책임자 | 총무과장 | 총무부 | 051-990-6010 |
접근권한자 | 보안팀장 | (주)신명써비스 | 010-9289-5752 |
[개인영상정보의 촬영시간, 보관기간, 보관장소 및 처리방법]
ο 촬영시간 : 24시간 촬영
ο 보관기간 : 촬영일로부터 15일
ο 보관장소 : 중앙통제실
ο 처리방법 : 개인영상정보의 목적 외 이용, 제3자 제공, 파기, 열람 등 요구에 관한 사항을 기록·관리하고, 보관기간 만료 시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출력물의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CCTV 설치 및 관리 등의 위탁에 관한 사항]
병원은 아래와 같이 CCTV 설치 및 관리 등을 위탁하고 있으며, 관계 법령에 따라 위탁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ο 수탁업체 : (주)캡스텍
ο 담당자 : 이종훈
ο 연락처 : 010-2021-5241
[개인영상정보의 확인 방법 및 장소에 관한 사항]
ο 확인 방법 : 개인영상정보 관리책임자에게 미리 연락하고 병원을 방문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ο 확인 장소 : 중앙통제실(3동 지하 2층)
[정보주체의 영상정보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조치]
귀하는 개인영상정보에 관하여 열람 또는 존재확인·삭제를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CCTV운영자에게 요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귀하가 촬영된 개인영상정보에 한정됩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개인영상정보 열람 등 요구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관리책임자는 10일 이내에 서면 등으로 거부 사유를 정보주체에게 통지합니다.
ο 개인영상정보의 보관기간이 경과하여 파기한 경우
ο 타인의 사생활권이 침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
ο 기타 정보주체의 열람 등 요구를 거부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병원은 개인영상정보에 관하여 열람 또는 존재확인·삭제를 요구한 경우 지체 없이 필요한 조치를 하겠습니다.
[개인영상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병원에서 처리하는 개인영상정보는 암호화 조치 등을 통하여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은 개인영상정보보호를 위한 관리적 대책으로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차등부여하고 있고, 개인영상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개인영상정보의 생성 일시, 열람 시 열람 목적, 열람자, 열람 일시 등을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개인영상정보의 안전한 물리적 보관을 위하여 출입통제 시스템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CCTV 운영·관리방침 변경에 관한 사항]
CCTV 운영·관리방침은 2024년 1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법령·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의 추가·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시행하기 최소 7일 전에 병원 홈페이지를 통해 변경사유 및 내용 등을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책으로서 여러 보안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보내시는 모든 정보는 방화벽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보안시스템에 안전하게 보관/관리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관리적 대책으로서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및 관리에 필요한 절차를 마련하고,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인원을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지속적인
보안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사용자를 지정하여 사용자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갱신하겠습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12년 3월 31일에 제정되었으며 법령ㆍ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의 추가ㆍ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변경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시행하기 최소 7일전에 병원 홈페이지를 통해 변경이유 및 내용 등을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시행일자 : 2024년 10월 01일
[별첨 1] 개인정보의 처리 위탁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처리 위탁 현황
수탁업체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개인정보 보유기간 |
---|---|---|
(주)홈페이지코리아 | 홈페이지 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동원홈푸드 | 환자 및 직원 급식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신명써비스 | 경비보안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한국영상의원 | 의료영상 원격 판독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재)서울의과학 연구소 |
위탁검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의)녹십자 의료재단 |
위탁검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이원검사센터 | 위탁검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씨젠검사센터 | 위탁검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희원 | 건강검진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온라인팜 | 자동약포장기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킴스 | 심평원 처방조제전(심평원DUR), 시스템 실시간 전송, 복약안내출력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투썸데이타(주) | PACS 데이터베이스 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메디어스(주) | OCS 데이터베이스 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티피헬스케어 | GE PACS 운영지원 및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진성전산시스템㈜ | 컴퓨터 및 프린터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중앙911 | 환자이송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위더스 파크 | 주차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한국정보인증 주식회사 | 제증명 발급 업무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메디에이지 | 모바일 건강검진서비스, 생체나이측정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박스터 | 약품(복막투석액) 택배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프레제니우스메디컬케어 코리아 | 약품(복막투석액) 택배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엘씨테크(주) | 영상 EMR, 전자동의서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백성사 | 세탁물 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티맥스 | DB 운영 및 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정원엔시스 | 전산 시스템 유지보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나이스평가정보 | 본인인증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세정텔레콤 | 예약내역 카카오톡 및 문자전송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포씨게이트 | 무인수납 및 처방전달시스템 구축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지씨지놈 | 수탁검사 시행 및 결과 회신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헬스메디컬 | 건강검진결과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식회사 우림맨테크 | 환경미화업무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한국정보인증주식회사 | 제증명 발급 업무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주)마이더스인 | 채용플랫폼 서비스 제공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엘에스정보기술 주식회사 | DB접근제어솔루션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 스토리지관리, 유지보수관리 | 위탁계약 종료시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