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연수원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사이트맵

건강질병정보

소아청소년과

우리 아기, 이른둥이로 태어나 퇴원까지

게시일2024.12.24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우리 아기, 이른둥이로 태어나 퇴원까지
소아청소년과 홍유라교수

이른둥이는 예정일보다 일찍, 재태 주수 37주 이전에 출생하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이른둥이는 만삭아와는 달리 정상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장애가 있어 건강한 아기로 퇴원할 때 까지는 물론 퇴원한 후에도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이른둥이 1) 출산의 원인과 2) 출생 후 경험하게 되는 질환 및 3) 치료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1) 신생아 호흡 곤란증 : 이른둥이는 재태 주수 34주 경에 활발하게 생성되는 폐표면 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한 호흡 곤란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때는 인공 폐표면 활성제 투여와 인공환기요법이 필요합니다.
(2) 미숙아 무호흡 : 뇌간 호흡 중추의 기능 미숙으로 무호흡증이 생후 1일째부터 수태 후 연령 37주가 되는 때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약물 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으면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3) 신생아 황달 : 태아 시기에는 황달 물질을 태반이 처리해 주었지만 간의 미성숙으로 인해 생후 1-3일 째 생리적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핵 황달의 발생을 막기 위해 광선치료 혹은 교환 수혈이 필요합니다.
(4) 동맥관 개존증 : 신생아 호흡 곤란증이 호전될 즈음, 태아시기에 폐동맥과 하행 대동맥 사이를 연결해 주던 동맥관이 폐쇄되지 못함으로 인해 태아 상태가 갑자기 악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약물을 사용하거나 수술로 동맥관을 결찰 하여야 합니다.
(5) 뇌실 내 출혈 : 뇌혈관 벽과 혈관 주위 지지대 부분이 약하여 쉽게 출혈하게 됩니다. 출혈 정도가 심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으로 뇌수두증 및 신경학적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조기에 뇌출혈이나 수두증을 발견하기 위하여 출생 2~3일경, 2주경, 퇴원 전과 후에 뇌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결과에 따라 1-3주 간격으로 출생 예정일까지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 소견이 지속되면 MRI 촬영이 필요합니다.
(6) 신생아 괴사성 장염 : 아기의 장이 상해서 괴사가 일어나는 병입니다. 치료로 충분한 금식, 항생제 투여 등이 필요하며 심하면 장 파열이 합병되어 장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7) 미숙아 망막병증 : 심하면 실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출생 후 1개월 째부터 안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지속적 경과 관찰 또는 레이저 시술 및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만성 폐 질환(기관지폐형성이상) : 신생아 호흡 곤란증으로 장기 산소 투여를 받았던 환아에서 만성 폐 질환(기관지폐형성이상)으로 입원의 기간이 장기화되고 퇴원 시에도 산소 포화도 감시 장치와 산소 발생기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9) 발달검사 : 발달지연과 장애에 대하여 입원 중 및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발달검사가 필요합니다.
(10) 다음의 기준에 도달하면 퇴원을 준비하게 됩니다.
기준 : 1) 체중의 지속적 증가(하루에 10-30g씩)
2) 모든 영양 공급이 우윳병으로 가능할 때
3) 실온에서 체온 유지가 가능할 때
4) 무호흡 발작이나 서맥이 없을 때
5) 비경구 투여 약물을 끊거나 경구 투여로 바꾸었을 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