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se 1. 제 1상 임상시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첫 단계 시험
소수(통상 20~80)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시험적인 약물 또는 치료법의 부작용을 규명하고 안전한 용량 범위를 결정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는 임상시험
Phase 2. 제 2상 임상시험
용량의 적정성 및 약효확인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시험물질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여 신약으로서의 가능성과 최적 용량, 용법을 결정하고
치료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시험.
시험하고자 하는 의약품이 적용될 대상질환 환자를 대상(통상 100~200명)으로 수행됩니다.
Phase 3. 제 3상 임상시험
치료적 확증 임상시험
가장 규모가 큰 임상시험으로, 유효성에 대한 추가 정보 및 확증적 자료를 확보하는 시험.
다수의 환자(통상 수천명)를 대상으로 신약후보물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대조약과 비교, 검토하여 유효성을 확인하고,
시판사의 Label을 확정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피험자 수가 많기 때문에 다국가, 다기관 연구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단계는 허가의 핵심이 되는 단계이므로, 다른 단계에 비해 장기적으로 진행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 같이 복용할 경우의 효과도 확인하게 됩니다.
Phase 4. 제 4상 임상시험
치료적 사용임상시험
시판 후, 약에 대해 전반적인 조사를 수행하게 됩니다.
선행의 원칙
인간존중의 원칙
정의의 원칙
이득
철저한 준비하에 수행되는 임상시험은 많은 이득을 제공합니다.
후원
임상시험은 많은 후원단체의 후원과 다양한 시험장소에서 수행됩니다.
위험
임상시험은 다음과 같은 위험요소가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됩니다.